본문 바로가기

세계로 미래로

앞치마를 행주치마라고 부르게 된 사연

 

 행주산성

 

     임진왜란(1592) 때 <권율> 장군의 행주대첩으로 널리 알려진 곳으로, 흙을 이용하여 쌓은

     토축산성이다. 성을 쌓은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며,

     험한 절벽을 활용하면서 펼쳐지는 넓은 평야를 포함하고 있는 것은 삼국시대 전기의 산성

     형식과 비슷하다.


     산꼭대기를 둘러싼 작은 규모의 내성과 골짜기를 에워싼 외성의 2중구조를 하고 있다.

     남쪽으로는 한강이 흐르고 동남쪽으로는 창릉천이 산성을 에워싸고 돌아,  자연적으로 성을

     방어하는 구실을 하고 있다.  이 지역은 삼국시대 초기에 백제의 땅이었으며, 서해안과 연결

     된 수로의 거점지역으로 남북 교통의 요충지대이다.

 

 행주대첩 기념비 /  행주산성

 

     성 안에서는 삼국시대의 토기조각을 비롯하여 통일신라시대의 유물이 많이 나오고, 물고기뼈

     무늬를 새긴 기와 조각도 발견되고 있어서 고려시대까지도 사용해 왔던 것으로 보인다. 

     한편 행주대첩은 임진왜란 3대 대첩 중 하나로, 선조 26년(1593)에 왜병과의 전투시에 성 안의

     부녀자들이 <앞치마>에 돌을 날라 병사들에게 공급해 줌으로써 큰 승리를 거두었다. 당시 그

     부녀자들의 공을 기리는 뜻에서 이후 앞치마의 이름을 <행주>라는 지명을 따서 <행주 치마>

     라고 부르게 되었다고도 한다.

     이 산성은 한강 유역에 있는 다른 산성들과 함께 삼국시대 이후 중요한 방어요새의 역할을

     한 곳으로, 1603년에 세운 ‘행주대첩비’가 있으며, 권율 장군을 모시는 충장사가 있다.

※ 상기 내용은 본인의 견학 답사기 대신에 문화재청 자료 전문을 인용 재편집한 것임을 밝혀둡니다.

문화재 분류 : 사적 제56호 (행주산성/ 조선시대) / 소재지 위치 : 경기 고양시  덕양구 행주내동 산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