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은 돈받고 하는 놀이
<운동>은 돈쓰며 하는 고생
각자 생각이야 다르겠지만
그 <놀이>도 지겨울 때가 있고
그 <고생>이 즐거울 때가 있다
즉 일부러 작정하고 자청한 것이기에 손수 몸소 그 자체를 즐긴다.
사랑방 짓고나니 산골에서의 겨울맞이는 첫걸음부터가 만만치않네.
.
뒷마당에 쌓인 땔감나무 장작패다가 너무 힘들어 잠시 휴식중
생전 안해보던 장작패기 도끼질 짓 하려니 발등 찍힐까 불안하고
팔뚝힘의 강약조절도 요령부득이거니와 내려친 도끼날이 나무토막
정면에 꽂혀야 단박에 빡 뽀개지는데 허탕치는 경우가 더 많더라는.
허탕치게 되면 몸도 마음도 특히 주력부대인 팔뚝과 자존심 허황.
시골 전원생활 제대로 즐기려면 몸도 마음도 건강해야겠스.
낮에는 돌쇠 마당쇠처럼.. 밤에는 발강쇠처럼 씩씩튼튼.
시골산골의 낭만적으로 보이는 전원(田園)생활은 곧
뼛골 빠지게 돈 잡아먹는 전원(錢怨)생활이기도.
초보 1년차 적응 준비단계라 돈 돈 돈타령
벌진 못해도 덜쓰는 요령 체득 필요
따라서 전원생활은 전신(全身)생활이기도
돈이 없으면 온몸으로 떼워야하니까.
땔감을 손수 져오든지 다 뽀개진 장작을
현장 하차도 가격으로 구매하든지
통나무 한트럭은 2~30만원
장작 한트럭은 5~60만원
기름 한드럼은 28만원
나는 전자를 선택했스.
올겨울 내내 장작
패다가 세월
가겠스.
그래도 오늘 또 올라가련다.
남의 눈치 아니보고 기다리는 사람이 아니
독촉재촉 압박의 시선이 없어 자유자재롭기 때문이다.
---------------------------------------------------
4345년 섣달 스무나흘날 / 발마@산골사랑방(慧明草堂)
'산골짝 사랑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랑방 준공검사 후속행정 처리 완료 (0) | 2013.01.10 |
---|---|
폭설로 산중고립상태 (0) | 2012.12.28 |
편지통 겸 수문장_파발대감으로 호칭 격상 (0) | 2012.12.21 |
산골사랑방 첫겨울 첫눈 (0) | 2012.12.06 |
시골집 산골 사랑방의 겨울나기 준비 (0) | 2012.12.04 |